자궁내막 용종 제거, 언제 어떻게 해야 할까?
자궁내막 용종 제거는 꼭 필요한가요? 시기와 수술 방법을 알려드립니다
자궁내막 용종은 자궁 내막에 발생하는 작은 혹으로 대부분 양성이지만,
크기나 증상, 악성 가능성 여부에 따라 반드시 제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자궁내막 용종의 제거 시기, 진단 후 경과 관찰 여부, 제거 수술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안내드립니다.
자궁내막 용종이란 무엇인가요?
자궁내막 용종은 자궁 안쪽 내막에서 발생하는 국소적인 증식성 병변입니다.
크기는 수 mm부터 수 cm까지 다양하며, 단일 또는 다발성으로 생길 수 있습니다.
대부분은 증상이 없지만, 부정출혈, 생리 이상,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.
용종 제거가 필요한 시기는 언제인가요?
용종은 모두 제거해야 하는 건 아니며, 다음의 경우 반드시 제거가 권장됩니다.
제거 필요 기준 이유
크기가 1cm 이상 | 악성화 가능성 증가 |
출혈 동반 | 빈혈, 일상 불편 유발 |
폐경 후 발견 | 암 발생 가능성 높음 |
불임 원인 의심 | 착상 방해 가능성 |
자궁내장치 삽입 전 | 감염, 출혈 위험 증가 |
특히 폐경 후 여성에게 발생한 자궁내막 용종은 반드시 제거해야 하며,
자궁내막암과의 감별을 위해 조직검사를 병행하게 됩니다.
제거 시기는 생리 직후가 가장 이상적입니다
자궁내막 용종 제거 수술은 보통 **생리 직후(5~10일 사이)**에 시행됩니다.
이 시기는 자궁내막이 가장 얇고 용종이 잘 보이기 때문에 수술 효율이 높습니다.
배란 전이므로 가임기 여성에게도 수술 후 임신 준비에 지장이 없습니다.
제거 수술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되나요?
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**자궁경하 절제술(Hysteroscopic Polypectomy)**입니다.
이 수술은 입원 없이 당일 시술이 가능하며, 회복도 빠릅니다.
수술 방법 설명
자궁경 수술 | 자궁 안으로 카메라 삽입, 직접 용종 제거 |
장점 | 절개 없이 진행, 회복 빠름, 정확한 위치 확인 |
시간 | 약 10~30분 소요 |
마취 | 수면마취 또는 국소마취 병행 |
자궁경 수술의 실제 시술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
- 수면 또는 국소마취 하에 질을 통해 자궁경 삽입
- 자궁 내벽을 식염수로 팽창시켜 시야 확보
- 카메라로 용종 위치 확인 후 전기소작 또는 기계절단
- 조직을 제거하고 회수 후 조직검사 의뢰
수술 직후 가벼운 출혈이나 생리통 같은 통증이 있을 수 있지만,
대부분 1~2일이면 회복됩니다.
수술 후 주의사항은 꼭 지켜야 합니다
수술 후 감염 예방과 회복을 위해 아래 사항을 지켜야 합니다.
항목 주의사항
성관계 | 1~2주 금지 |
탕목욕 | 금지, 샤워만 가능 |
운동 | 격한 활동 3일간 금지 |
분비물 | 갈색 또는 핑크색, 수일 내 소실 |
재검진 | 조직검사 결과 확인 위해 1~2주 후 내원 필수 |
용종 제거 후 임신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
가임기 여성에서 자궁내막 용종은 착상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,
제거 후 임신율이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도 다수 존재합니다.
따라서 불임이 의심되는 경우, 자궁내막 초음파 또는 자궁경 검사를 통해
용종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자궁내막 용종 관련 요약 표
항목 정보
주요 증상 | 부정출혈, 생리 과다, 불임 |
제거 시기 | 생리 직후 (5~10일차) |
수술 방법 | 자궁경하 절제술 (당일 수술 가능) |
마취 | 수면 또는 국소마취 |
회복 기간 | 1~2일 내 일상 복귀 가능 |
주의사항 | 성관계, 운동, 탕목욕 일시 제한 |
#자궁내막용종 #자궁경수술 #여성질환치료 #자궁내시경 #불임원인제거 #용종수술시기
자궁내막, 용종제거, 자궁경, 생리이상, 여성검진
'질병관리 > 산부인과 미리가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질 건조증 극복을 위한 생활습관 5가지 (2) | 2025.05.17 |
---|---|
폐경기 증상 완화에 좋은 음식 🍽️ (2) | 2025.05.15 |
알아두면 생명을 살리는 난소암 초기증상 신호들 (1) | 2025.05.13 |
다낭성 난소 증후군(PCOS), 완치는 가능한 걸까? (2) | 2025.05.12 |
자궁 탈출증 의심 신호, 집에서 확인하는 3가지 방법 (1) | 2025.05.12 |